2024년 귀속 연말정산부터 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통장) 납입액의 소득공제 한도가 기존 240만 원에서 300만 원으로 상향됐다.
소득공제율 40% 적용 시 최대 120만 원까지 절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무주택 세대주로서 청약통장에 납입한 금액에 대해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 요건, 한도 및 신청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자.
가입 가능한 은행 찾아보기 🔍
✅ 주택마련저축 소득공제 한눈에 보기
📌 공제 대상: 무주택 세대주, 총급여 7,000만 원 이하 근로자
📌 대상 상품: 주택청약종합저축, 주택청약저축, 기존 근로자주택마련저축
📌 공제 한도: 연 300만 원까지 납입액 인정 (기존 240만 원 → 300만 원으로 상향)
📌 공제율: 납입액의 40%
📌 최대 공제액: 120만 원(300만 원 × 40%)
📌 필수 서류: 무주택 확인서, 주택마련저축 납입증명서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조건 보기
🏡 주택마련저축 소득공제란?
정부는 무주택자의 주택 마련을 돕기 위해 청약통장(주택청약종합저축) 납입액의 일정 금액을 연말정산에서 소득공제해 준다.
✔️ 2024년부터 공제 대상 연간 납입액 한도가 기존 240만 원 → 300만 원으로 상향
✔️ 납입액의 40%를 소득공제
✔️ 최대 연 120만 원까지 소득공제 가능
청약통장을 유지하면서 절세 혜택까지 받을 수 있는 좋은 기회다.
👤 소득공제 받을 수 있는 대상자는?
① 무주택 세대주 요건
- 연말정산 기준일(12월 31일) 기준 무주택 세대주여야 함
- 세대주만 공제 가능 (세대원은 해당 없음)
- 단, 주거용 오피스텔 보유자는 무주택 세대주로 인정
② 총급여 7,000만 원 이하 근로자
- 총급여 7,000만 원 초과 시 소득공제 불가
- 프리랜서, 자영업자는 해당 없음 (근로소득자만 가능)
📌 주택마련저축 소득공제 대상 상품
✅ 주택청약종합저축 (청년우대형 포함)
✅ 주택청약저축
✅ 근로자주택마련저축 (2010년 이후 신규 가입 불가, 기존 가입자만 공제 가능)
📑 소득공제 신청 방법 – 필수 서류 제출 필수!
① 무주택 확인서 제출 (최초 1회 필수!)
- 청약통장 가입 은행(금융기관)에 ‘무주택 확인서’ 제출해야 공제 가능
- 제출 기한: 2025년 2월 말까지
- 금융기관 앱 또는 웹사이트에서 온라인 제출 가능
- 한 번 제출하면 다시 제출할 필요 없음
🚨 무주택 확인서 미제출 시, 소득공제 불가!
② 연말정산 제출 서류
✔️ 주택마련저축 납입증명서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에서 자동 조회 가능)
✔️ 주택청약종합저축 통장 사본 (필요 시)
일부 경우 간소화 서비스에서 조회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금융기관에서 직접 발급 후 제출 필요
💰 공제 한도 및 계산 방법
📍 2024년부터 공제 한도 증가
✅ 연간 최대 납입액 300만 원까지 인정 (기존 240만 원 → 300만 원으로 상향)
✅ 납입액의 40% 공제
✅ 최대 120만 원(300만 원 × 40%) 소득공제 가능
📌 예제 – 소득공제 금액 계산
✔️ 연 300만 원 납입 → 120만 원 공제
✔️ 연 250만 원 납입 → 100만 원 공제 (250만 원 × 40%)
✔️ 연 200만 원 납입 → 80만 원 공제 (200만 원 × 40%)
📢 청약통장 납입금액이 연 300만 원 이상이면 최대 혜택(120만 원 공제) 가능!
🚨 주의할 점 – 공제 불가능한 경우
🚫 세대원이면 소득공제 받을 수 없음
🚫 총급여 7,000만 원 초과 시 공제 대상 아님
🚫 무주택 확인서를 제출하지 않으면 공제 불가
🚫 해당 연도 중 청약 당첨이나 청년우대형 전환 외 사유로 중도 해지 시 공제 불가
🔍 정리 – 주택마련저축 소득공제 핵심 요약
✅ 무주택 세대주 & 총급여 7,000만 원 이하 근로자 대상
✅ 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통장) 납입액에 대해 소득공제 가능
✅ 2024년부터 공제 한도 300만 원(기존 240만 원 → 300만 원 상향)
✅ 40% 공제율 적용 – 최대 120만 원까지 절세 가능
✅ 무주택 확인서 금융기관 제출 필수 (최초 1회만 제출)
✅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에서 자동 조회 가능, 필요 시 직접 서류 제출
📢 청약통장을 유지하면서 최대 120만 원 절세할 기회!
무주택 세대주는 연말정산 전에 무주택 확인서 제출 필수이며, 연 300만 원 이상 납입하면 최대 혜택을 받을 수 있다.
👉 2025년 연말정산에서 더 많은 세금 환급을 받기 위해 미리 준비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