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야 날아가자

한국장학재단 주거안정장학금 신청 바로가기 / 청년주거안정장학금 조건 알아보기 / 주거안정장학금 기숙사 결과보기

by 날아오리형 2025. 3. 3.
반응형

📅 신청 기간: 3월 4일 ~ 3월 18일
📍 대상: 원거리 대학 진학 기초·차상위 대학생
💰 지원금: 월 최대 20만 원

올해부터 원거리 대학에 진학한 기초·차상위 대학생에게 월 최대 20만 원을 지원하는 ‘주거안정장학금’이 처음 시행된다.
교육부와 한국장학재단은 3월 4일부터 18일까지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 및 앱을 통해 신청을 받는다고 밝혔다.

청년주거안정장학금 신청하기 바로가기

 

주거안정장학금 | 소득연계형국가장학금 | 장학금 | 한국장학재단

2025학년도 주거안정장학금 지원가능 대학 및 지원 불가 지역 확인 ※ 검색결과가 없을 경우, 주거안정장학금 참여대학이 아닙니다.

www.kosaf.go.kr


🏡 주거안정장학금, 누가 받을 수 있나요?

📌 대상 요건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대학생
원거리 대학 진학자 (부모님 주소지와 대학 소재지가 다른 교통권일 경우 인정)
사업 참여 대학(255개 대학) 재학생

📌 지원 제외 대상
같은 교통권 내 거주하는 경우 (예: 서울 소재 대학 + 경기도 성남 거주자)
부모님과 같은 지역 거주하는 경우

📢 📞 자세한 상담: 한국장학재단 고객센터 1599-2000

신청 바로가기 (한국장학재단)


📌 원거리 기준, 어떻게 판단할까?

주거안정장학금은 단순한 거리 기준이 아니라 교통권 개념을 적용해 원거리 여부를 판단한다.

🔹 수도권(서울·경기·인천)과 비수도권서로 다른 교통권으로 인정됨 → 지원 가능
🔹 대전, 광주, 부산 등 광역시와 다른 도 지역서로 다른 교통권으로 인정됨 → 지원 가능
🔹 같은 광역시 내, 인접 시·군 거주자는 지원 불가

📌 예시
지원 가능: 서울 거주자 → 대전 대학 진학
지원 가능: 전북 남원 거주자 → 전북 전주 대학 진학 (서로 다른 교통권)
지원 불가: 경기도 성남 거주자 → 서울 대학 진학 (같은 수도권 교통권)
지원 불가: 경남 진주 거주자 → 경남 창원 대학 진학 (인접 지역)

청년주거안정장학금 신청하기 바로가기

 

주거안정장학금 | 소득연계형국가장학금 | 장학금 | 한국장학재단

2025학년도 주거안정장학금 지원가능 대학 및 지원 불가 지역 확인 ※ 검색결과가 없을 경우, 주거안정장학금 참여대학이 아닙니다.

www.kosaf.go.kr

 


💰 주거안정장학금, 어떻게 사용할 수 있나요?

월 20만 원 한도 내에서 다양한 주거 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다.

🏠 지원 항목
임차료 (전·월세, 고시원, 기숙사 등 거주 비용)
주거 유지·관리비 (공동주택 관리비, 시설 유지비 등)
수도·전기·가스 등 공과금
주택 임차·저당 차입금 이자 상환액

📌 중요: 반드시 학생 본인이 직접 지출한 주거비용만 지원 가능


📢 국가장학금 2차 신청도 함께 진행!

같은 기간 동안 국가장학금 2차 신청도 가능하다.
신입생·편입생·재입학생·복학생 대상
소득 9구간까지 지원 확대 (기존 8구간 → 9구간으로 변경)
2차 신청 마감 후 추가 신청 불가

📌 국가장학금과 주거안정장학금은 중복 신청 가능!
📌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에서 신청 가능!

국가장학금 신청 바로가기


📞 신청 방법 & 문의

📍 신청 기간: 3월 4일 ~ 3월 18일 (24시간 접수 가능)
📍 신청 방법:
온라인 신청: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
모바일 신청: 한국장학재단 앱 다운로드 후 신청
📍 문의:1599-2000 (한국장학재단 상담센터)


🔎 "이제 대학생 주거 부담 줄어든다"…기대 효과는?

💡 대학생들의 가장 큰 경제적 부담 중 하나는 주거비다.
💡 정부 지원을 통해 원거리 진학 학생들의 생활비 부담 완화
💡 기초·차상위 대학생의 학업 집중 환경 조성

📢 교육부 관계자:
*"이번 주거안정장학금 도입으로 원거리 진학 대학생들의 주거 부담을 실질적으로 덜어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학업과 생활을 동시에 잡을 수 있는 기회! 주거안정장학금 신청을 놓치지 마세요! 🏠🎓

주거안정장학금 & 국가장학금 신청하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