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최근 울산, 경북, 경남 지역에서 발생한 대규모 산불로 인해
피해를 입은 이재민들의 신속한 일상 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긴급지원주택 제공 절차를 즉각 착수했다.
이를 통해 이재민들이 안전한 주거 공간에서 무상으로 거주할 수 있도록 지원책을 마련했다.
🏢국토교통부 바로가기
📌 긴급지원주택, 최초 2년간 무상 거주 지원
국토부는 공공임대주택을 활용하여
이재민에게 즉시 거주할 수 있는 주택을 제공한다.
특히, 최초 2년 동안 월 임대료를 LH와 지자체가 각각 50%씩 부담하여
이재민들은 임대료 부담 없이 거주할 수 있다.
현재까지 확보된 공공임대주택은 다음과 같다.
- 경북: 610호
- 경남: 107호
- 울산: 141호
입주를 희망하는 이재민은 각 지자체에 신청 후
대상자로 확인되면 입주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경상북도청 신청가기
🏠 전세임대주택 특례 지원, 민간 주택 이주도 가능
정부는 공공임대주택 외에도 이재민이 원하는
민간 소유 주택에 이주할 수 있도록 전세임대주택 특례도 제공할 계획이다.
이 제도는 LH가 직접 전세 계약을 체결한 후, 이재민에게 재임대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 지원 대상: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된 산불 피해 이재민
- 지원 한도: 7,000만 원 ~ 1억 3,000만 원 (수도권 수준 적용)
- 지원 방식: LH가 전세 계약 체결 후 재임대
이 제도를 통해 이재민들은 원하는 지역에서 보다
안정적인 주거 생활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주택 복구 자금, 최대 1억 2,400만 원 저리 융자 지원
주택 피해를 입은 이재민이 향후 주택을 복구하는 경우에도
주택도시기금을 활용하여 복구 비용을 저리 융자 지원받을 수 있다.
- 대출 금리: 연 1.5%
- 지원 한도: 최대 1억 2,400만 원 (면적별 차등 적용)
이 같은 저금리 대출을 통해 이재민들이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하며 보다 원활하게 주거를 복구할 수 있도록 돕는다.
📍 LH, 현장지원반 운영 및 추가 주택 확보 추진
LH는 과거 강원 산불 등 이재민 지원 경험을 바탕으로
피해 지역 내 '현장지원반'을 설치하고 찾아가는 상담 서비스를 운영할 예정이다. 또한,
- 지자체 및 관계기관과 협력하여 추가 주택 확보 추진
- 해당 지역 내 추가 주택 매입 및 공공임대주택 확대 공급 검토
이 같은 방안을 마련해 보다 많은 이재민들이
신속히 주거를 안정화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 문의처
긴급지원주택 및 전세임대주택 특례 신청과 관련된 문의는 아래 기관에서 받을 수 있다.
- 국토부 주거복지정책관 주거복지지원과: ☎ 044-201-4531
- 한국토지주택공사(LH) 주거복지계획처: ☎ 055-922-3301
이번 긴급 지원 대책을 통해 산불 피해를 입은 이재민들이
빠르게 주거 안정을 찾고, 장기적인 복구를 위한 지원을 충분히 받을 수 있길 기대한다. 🔥🏠
'경제야 날아가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안장애, 공황장애, 스트레스 등 산불피해주민 대상 무료 심리지원 상담 서비스 제공안내 (0) | 2025.04.01 |
---|---|
국내주식 / 해외주식/ 주식 투자 주요 종목 동향 / 코스피 코스닥 주식강의 3월 31일 (0) | 2025.03.31 |
국내주식 / 해외주식/ 주식 투자 주요 종목 동향 / 코스닥 주식강의 3월 28일 (0) | 2025.03.31 |
국내주식 / 해외주식/ 주식 투자 주요 종목 동향 / 코스닥 주식강의 3월 27일 (0) | 2025.03.28 |
세종시, 철원군, 화천군, 거제시, 김제시 군사시설 보호구역 해제 및 완화 (0) | 202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