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관세 정책 강화로 인해 미국 기업들이 부담해야 할 관세 비용이 최대 625조 원(4,330억 달러)에 이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전문가들은 이로 인해 기업뿐만 아니라 최종적으로 소비자들의 부담도 커질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미국 기업들, 사상 최대 관세 부담 직면
미국 CNBC 방송은 13일(현지시간) 컨설팅업체 ‘트레이드 파트너십 월드와이드’(TPW) 자료를 인용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공약이 실행될 경우 미국 기업들의 관세 부담이 폭증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현재 미국 기업들은 연간 약 112조 원(780억 달러) 규모의 관세를 부담하고 있지만,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집권할 경우 관세 부담이 6배 가까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국제비상경제권법(IEEPA)에 따라 중국, 캐나다, 멕시코, 유럽연합(EU)에 추가 관세가 부과될 경우 기업들이 감당해야 할 비용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중국산 제품 관세 부담: 약 62조 원(430억 달러)
캐나다산 제품 관세 부담: 약 148조 원(1,030억 달러)
멕시코산 제품 관세 부담: 약 181조 원(1,260억 달러)
유럽연합(EU)산 제품 관세 부담: 약 215조 원(1,490억 달러)
철강·알루미늄 제품 관세 부담: 약 15조 원(110억 달러)
TPW 대니얼 앤서니 회장은 “추가 관세가 부과되면 미국 기업들은 수천억 달러의 추가 세금을 내야 한다”며, “이러한 부담을 기업들이 스스로 감당하기보다 소비자에게 전가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텍사스·캘리포니아 등 주요 지역 관세 직격탄

특히, 미국 내에서도 관세 부담이 특정 지역에 집중될 가능성이 높다. TPW 분석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을 지지했던 텍사스주는 관세 부담이 지난해 10조 원(72억 달러)에서 92조 원(640억 달러)으로 9배 가까이 증가할 수 있다.
텍사스주: 10조 원(72억 달러) → 92조 원(640억 달러)
캘리포니아주: 24조 원(170억 달러) → 66조 원(460억 달러)
특히 텍사스는 대(對)멕시코 수출입 비중이 높아, 멕시코산 제품에 부과될 관세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캐나다·멕시코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가 한 달간 유예를 결정한 만큼, 향후 정책 변화에 따라 기업들의 부담은 더욱 가중될 전망이다.
캘리포니아 역시 중국과의 무역 비중이 높아 대중국 관세로 인한 피해가 클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캘리포니아 기업들의 대중국 관세 부담은 약 17조 원(122억5천만 달러)에서 올해 23조 원(159억 달러) 수준까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관세 부담 증가… 소비자 가격 상승 불가피

미국 기업들의 관세 부담이 급증하면, 이는 결국 소비자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전문가들은 기업들이 관세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워지면, 제품 가격을 인상해 소비자들에게 부담을 떠넘길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지난 2018~2019년 미국과 중국 간 무역 전쟁 당시에도 관세 인상으로 인해 미국 내 가전제품, 자동차, 식료품 등의 가격이 크게 상승한 바 있다.
TPW 관계자는 “기업들이 관세 비용을 감수하기보다 제품 가격을 올려 소비자에게 전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라며, “소비자 물가 상승과 경제 전반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고려할 때, 추가 관세 부과 정책은 신중하게 검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향후 전망… 무역 정책 변화가 관건
관세 정책 변화는 미국 기업과 소비자 모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만큼, 향후 미국 정부의 무역 정책 방향에 따라 경제 전반의 흐름이 달라질 가능성이 크다.
특히 트럼프 전 대통령이 2024년 대선에서 승리할 경우, 기존 관세 정책이 더욱 강화될 가능성이 높아 기업들의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 반면, 조 바이든 대통령이 재선될 경우 관세 부담을 줄이기 위한 조치가 마련될 가능성도 있다.
미국 경제가 글로벌 무역 환경 변화 속에서 어떻게 대응할지, 그리고 향후 관세 정책이 어떤 방향으로 전개될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경제야 날아가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페이 확산, 국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우려 (0) | 2025.02.18 |
---|---|
소상공인, 냉장고·세탁기 교체하면 지원금 40% 지급…17일부터 신청 접수 (0) | 2025.02.17 |
배우 이하늬, 60억 원 세금 추징… 소속사 "고의적 탈루 아냐, 전액 납부" (0) | 2025.02.17 |
신용카드로 세금 납부하면 절세 혜택 ‘쏠쏠’… 캐시백·마일리지 챙기는 법 (0) | 2025.02.15 |
친정엄마도 산후조리 지원금 받는다…최대 98만원 지원, 지원방법 (0) | 2025.02.15 |